분류 전체보기(48)
-
청소년발달의 사회-학습 이론
인지발달 이론에서는 개인의 발달에 미치는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많은 이론가가 지적한 것처럼 청소년기는 사회라는 구조 속에서 일어난다. 여기서 사회적 구조란 사회에서 청소년에게 무엇을 기대하며 어떠한 행동이 허용되는가 등을 말한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은 특정 청소년이 어떠한 사회적 맥락에서 생활하고 있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사실 이러한 관점은 문화 인류학자들과 학습 이론가들의 견해에서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이다. 문화 인류학자들은 청소년기의 발달에서 생물학적인 요인을 강조한 Hall이나 Freud 등의 견해를 강하게 부정한다. 초기 문학 인류학자들은 서구 문화권의 청소년들에게서 나타나는 발달 특징이 모든 문화권에서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행동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회적..
2022.08.02 -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Hall, Gesell, Freud의 이론들은 청소년의 생물학적 발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Freud의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성적인 에너지를 강조하고 있다. 그렇지만 Sullivan, Erikson, Marcia와 같은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가들은 유기체에 중요한 생활사건과 그 사건의 발생 시기, 타인과의 관계, 문화적인 특성 등과 같은 심리·사회적인 요인이 인간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Sullival은 인간은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각 개인이 다른 사람과 어떠한 관계를 갖느냐에 따라 상이한 발달을 경험한다고 주장하였다. 타인과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연령에 따라 형태와 욕구가 달라진다. 그는 유아기부터 후기 청소년까지를 6단..
2022.08.02 -
청소년의 정신분석 이론
청소년기를 설명하는 정신분석 이론에는 몇 가지 기본적인 원리가 있다. 첫째, 정신분석 이론은 과거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즉 청소년의 현재 행동은 개인의 과거 경험과 개인적 역사를 통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정신분석 이론은 본능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특히 사춘기에 증가하는 성적인 본능을 강조한다. 청소년 발달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Anna Freud의 견해에서 잘 나타난다. 즉 청소년기는 질풍노도의 시기이며, 가족의 갈등이나 성적인 에너지가 청소년의 행동을 동기화시킨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정신분석 이론은 Sigmund Freud와 그의 딸인 Anna Freud에 의해 많은 부분이 정립되는데, Freud는 인간의 발달은 단계적이며, 인간의 이해에 무의식적 욕구를 중요하게 고려하..
2022.08.02 -
청소년 발달의 이론적 관점
청소년기를 설명하는 많은 이론 중 생물학적 이론들은 주로 청소년기의 신체적인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신체적인 변화는 아동기를 지나 청소년기로 진입하였음을 알게 하는 가시적이고 명확한지표이다. 따라서 부모, 친구, 형제 등과 같은 주변 사람들은 다른 변화(예를 들어, 인지적 변화 등)에 비해 신체적 변화를 보다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신체적인 변화는 청소년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행동 변화를 유발한다. 예를 들어, 남자 청소년들은 자신의 목소리가 굵어지고, 턱에 수염이 생김에 따라 스스로 이제는 어린아이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자기 상에 대한 이러한 변화는 과거와는 다른 행동을 하게 만들며(예를 들어, 보다 어른스러운 행동) 타인들에게도 과거와는 다르게 자신을 대해 줄 것을 기대..
2022.07.19 -
청소년학 연구의 발전과제
청소년학 분야의 연구는 유사 학문 분야 예컨대, 아동학이나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등과 비교했을 때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아직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에서 청소년학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1992년의 한국청소년학회와 1993년의 한국 청소년 개발원이 설립되기까지 교육학이나 심리학 분야 내에서 소수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어 왔을 뿐이며, 그나마도 청소년연구라기보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청소년 분야의 연구가 미래 청소년학회, 청소년복지학회등으로 확장되면서, 청소년 연구의 양적, 질적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외국에서는 2004년도 현재 청소년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잡지인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dir 45..
2022.07.18 -
청소년심리학의 기본이론
초기 그리스 시대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젊은이의 본질에 대해 언급하였다. 플라톤은 '공화국'에서 인간 발달의 세 가지 국면을 욕망, 정신, 이성이라고 하였다. 플라톤에 따르면 이성은 아동기에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오늘날 '청소년기'라고 부르는 연령 시기에 최초로 발달한다. 그러므로 아동기의 교육은 스포츠와 음악만으로 충분하며, 청소년기가 되면서 이성 즉, 합리적 사고를 요구하는 과학과수학을 지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플라톤은 이 원론적 사상을 주장한 철학자로서 인간의 이성이 욕망을 지배하게 될 때 진정한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플라톤이 과학과 수학을 강조한 것은 이들 교과가 청소년의 이성을 도야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플라톤에 따르면 성격 형성은 주로 아..
2022.07.18